내 역량과 강점을 표현할 핵심 키워드? 포트폴리오 형식? 경험을 어떻게 압축하는지? ... 어떤 내용을 어떤 형식으로 써야 할까? 이력서, 자소서, 포트폴리오의 핵심 본질은 역량순으로 나의 경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역량을 보여줘야 할까? 가장 좋은 것은 기업의 훌륭한 컨닝 페이퍼인 JD(Job Description)을 활용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보통 "JD"를 제대로 활용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렇다면 제대로 "JD"를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채용 공고의 예시를 확인해보자. React를 사용한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 REST API로 다양한 서비스 연동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 AWS 등 클라우드 환경에 배포, 운영 경험이 있으신 분 "React를 사용한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의 요구..
괜찮은 스타트업인지 사실 구분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괜찮은 스타트업인지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대표의 인터뷰나 기사를 검색해 사명감, 사업 동기, 성향 등 파악하기 최근 스타트업 창업가를 인터뷰하는 기획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자세하게 살펴봐야 한다. 재직자들의 경영진에 대한 평가 파악하기 잡플래닛, 블라인드에서 대표에 대한 사내 평판을 파악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무래도 현직자보다 경영진에 대해서잘 아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시장의 확장 가능성 스케일업이 가능한 의미 있는 시장을 공략하는 제품/서비스인지 확인해야 한다. 시장의 수요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수를 확인하는 것이다. 아직, 국내 시장에서 충분히 크지 않은 시장이라면 유..
이력서 첫 번째는 많은 곳에 완성된(현재까지 최고로 잘 만든) 이력서를 올려야 한다. 추천 사이트로 잡코리아, 사람인, 인크루트, 리멤버, 프로그래머스, 원티드, 링크드인, 로켓펀치, 잡플래닛이 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노션이 아닌 홈페이지로 이력서를 만드는 것이 좋다. 자신의 실력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들과의 차별성도 만들 수 있다. 짧은 경력은 웬만하면 넣지 않는 게 좋다. 기업에게 별로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개월 경력 근무처럼 말이다. 단, 결과물이 있다면 작성해야 한다. 이력서 사진은 정장 사진으로 올려야 한다. 개발 업계가 자유로운 인상이 있지만, 첫인상은 깔끔한 것이 좋다. 소통 역량이 있다면, 이를 강조해야 한다. 개발은 기획자, 디자이너, 다른 ..

개발자로서 이력서 작성과 괜찮은 회사의 채용 공고를 확인해보는 팁에 대한 조언을 기록합니다. 이력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자기소개서에는 전문적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어필해야 한다. 이력서를 제출할 때는 2 ~ 3개월 동안 작업한 토이 프로젝트를 같이 제출해야 한다. 이력서 웹 사이트를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개발 직무 채용 시장의 문이 좁아지고 있으니 이력서를 넣으면서 포트폴리오를 같이 진행해야 한다.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시연 영상이 있다면 설명을 같이 녹음하여 영상을 만드는 것이 긍정적인 반응을 가져올 수 있다.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은 간결하게 작성해야 한다. 프론트엔드라면 사용성 편의성에 대해 고민한 흔적 등을 이력서나 포트폴리오에 녹여내야..
풍부한 경력을 가진 개발자분들에게서 어떻게 준비하고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팁 빨리 취업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어떤 시야를 갖고 개발자로서 커리어를 쌓아 나아가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좋은 회사를 고르는데 1, 2년의 준비기간은 아깝지 않다. 조급하게 준비하지 말고 천천히 준비해도 된다. 신입 때는 비전공자와 전공자의 업무 능력 차이가 크지 않지만, 장기전으로 보았을 때 기본기를 쌓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부트캠프는 한 번이면 충분하다. 두 번째 팁 현재 채용시장의 분위기가 좋지 않으니 구직활동과 공부를 병행해야 한다 해외 취업 팁 미국에서 비자를 받아 일하는 것이 굉장히 어렵다. 미국이 최종 목적지라면 캐나다에서 시작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다. 해외 기업들에 직접..
자기소개서 상황을 설명하는 소설이 아닌, 요약 정리! 자기소개서는 장황한 소설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필할 내용들의 핵심만 요약해서 전달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못된 예. 대학생 때 공모전 기회가 생겨 지원했는데 시간이 없어 다 하지 못하고 ~ 정도 했습니다. 올바른 예. XX 공모전에 참석하여 N개월 간 --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저는 ~ API 개발을 맡았고 A 부분의 어려움이 있어 B 방안을 활용하여 극복했습니다. 그로 인해 ~ 능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자소서 문항에 대한, 정확한 답변! 가장 중요한 것은 "근거"이다. 자기소개서는 거짓말을 적는 것이 아니라 어필해야 할 내용들을 적어야 하며, 특히나 근거가 있는 내용들로 작성해야 한다. 잘못된 예. 나는 당신의 회사가 좋다. ~것..
개발 기술 면접 질문 함수가 일급 객체인 이유가 무엇인가? parseInt와 Number Wrapper 객체의 차이는 무엇인가? React의 메모이제이션 방법은 무엇인가? useMemo, useCallback Hook에 대해 설명하라. 최근 배운 디자인 패턴을 예제 위주로 설명하라. 인상 깊었던 디자인 패턴을 소개하고 배운 디자인 패턴 중 프로젝트에 적용해 본 적이 있는가? (전략패턴, 커맨드 패턴 등) SEO란 무엇인가? 사용해 본 적이 있는가? 브라우저 최적화 경험이 있는가? (예. Virtual Scroll) 그것을 어떻게 알고 배웠는가? 특별하게 기억이 남는 경험이 있는가? 아키텍처를 봤을 때, 도메인 로직이 Service Worker와 통신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무슨 의미인가? (Chrome Ex..
현재 활동중인 곳에서 개발자 이력서와 면접에 관한 경력자의 조언을 정리하고 공유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한다. 서류 검토 첫 번째로 고민해야 할 부분은 "자기 경험 위주의 이력서"인가? 생각해봐야 한다. 본인의 커리어만 나열한 것인지 다시 한 번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해봤구나."라는 인식만 전달해도 괜찮다는 것이다. 다양한 것을 써 본 경험으로도 충분히 인식을 전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말 필요한 것인지, 해당 포지션에 맞게 제대로 지원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JD를 보고 지원한 동기나 해당 팀에 지원한 이유 그리고 본인이 얼마나 괜찮은 사람인지 전달해야 한다. 이력서 비전공자, 프론트엔드 또는 백엔드 분야로 전향하는 이유가 타당한 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전공자이든 비전..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자이력서꿀팁
- 신입개발자가 준비해야 할 것들
- 고민한 부분
- #포스텍애플디벨로퍼아카데미
-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 if(kakao)dev2022
- Frontend
- Express
- PostechAppleDeveloperAcademy
- Default Branch
- javascript
- 포스텍애플디벨로퍼아카데미
- 그룹인터뷰후기
- node
- 싱글톤
- 최종추가합격
- 개발 이력서 지원 팁
- DB Error MongooseServerSelectionError
- 스프링
- Singleton
- React
- 프론트엔드 챌린지
- 조코딩과함께
- 자바스크립트
- 설명회느낌점
- 포스텍애플아카데미
- 깃허브 Merge
- 원티드 프리온보딩
- LottieFiles
- 코딩테스트 대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