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4주차 미션에 들어가기 전 3주차 피드백 함수 라인은 15줄을 넘기지 말 것 → 함수 라인이 15줄을 넘기면 분리하는 것을 고민해봐야 한다.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예외 상황을 고민할 것 → 정상적인 경우를 구현하는 것보다 예외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더 어렵다. 예외 상황을 고려해 프로그래밍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발생 가능성이 있는 모든 예외 상황을 고민하자 비즈니스 로직과 UI 로직을 분리할 것 → 비즈니스 로직과 UI 로직을 하나의 클래스가 담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단일 책임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View 클래스가 UI 로직을 담당하도록 구성한다. 객체의 상태 접근을 제한할 것 → 필드는 private class 필드로 구현해야 한다. 모든 접근을 private cla..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주차 피드백 상수로 선언한 변수 이름을 대문자로 처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작성하지 않았다. 이 부분을 언급해주셨고, 그 때 대문자로 작성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는 것은 전혀 다른데, 나는 알고 있기만 할 뿐, 실제로 실천하지 않고 있었다는 걸 제대로 깨닫게 됐다. 조심하자. MVC 패턴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커뮤니티를 통해서 알게 됐다. Model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만을 담당하도록 분리하고, 동시에 View와 완전한 독립을 지향해야 한다고 한다. 데이터에 집중하여 데이터의 유효성의 판별도 Model이 담당하는 것이 맞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View의 책임 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시작하기 전 1주차 미션이 끝나고, 미션에 대한 피드백 자료를 받았다. 머리로는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지키지 못했는데, 피드백에서도 이 부분이 나타나 있었다. 하면 할수록 스스로가 더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됐다. 그래서 2주차는 1주차보다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테스트 코드 작성 1주차와 다르게 2주차에서는 단위 테스트 케이스가 추가되었다. 게임 실행, 예외 처리 테스트만 하는 것이 아닌 구현한 각 기능마다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미션이 주어졌다. 나는 이 부분을 되도록 적극 활용하고자 우선적인 계획으로 삼았다. 테스트 코드를 제대로 작성하지는 못하더라도 어떻게 하는지 기본적인 부분은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되도록 기능 별로 쪼개기 나는 기능을 구현할 때, 하나의 함수의 ..
- Total
- Today
- Yesterday
- Default Branch
- node
- #포스텍애플디벨로퍼아카데미
- 그룹인터뷰후기
- 개발 이력서 지원 팁
- React
- Singleton
- javascript
- 설명회느낌점
- 프론트엔드 챌린지
- 조코딩과함께
- Express
- 자바스크립트
-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 개발자이력서꿀팁
- 고민한 부분
- 코딩테스트 대비
- 신입개발자가 준비해야 할 것들
- 포스텍애플디벨로퍼아카데미
- 원티드 프리온보딩
- 최종추가합격
- 싱글톤
- 스프링
- PostechAppleDeveloperAcademy
- DB Error MongooseServerSelectionError
- Frontend
- LottieFiles
- if(kakao)dev2022
- 포스텍애플아카데미
- 깃허브 Merg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