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로그래밍 지식/Git

[Git 기본] Git Remote

홍수성찬 2023. 5. 28. 21:02

지금까지 Git Clone을 통해 원격 저장소인 Github에서 로컬 환경에 복제하여 Git을 통해 버전 관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번에는 로컬 환경에서 작업한 이후 원격 저장소와 연동시켜 Git 작업하는 것을 학습하려고 한다.

 

Git Remote

로컬 저장소에서 시작한 프로젝트를 원격 저장소와 연결과 관련된 명령어이다.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한 프로젝트를 새로운 원격 저장소에 Push를 하기 위해 "Git Remote"를 사용한다. 이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Git remote add"이다.

 

Git Remote

원격 저장소를 연결하고 싶을 때, 원하는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한다.

그리고 위의 이미지처럼, "Add remote"를 클릭하면,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이 나온다.

해당 입력란에 연결할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작성하면 된다.

 

Remote

그리고 원격 저장소와 연결할 때, 해당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항상 기억할 수 없으니,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이름을 작성하면 된다. 보통 "origin"을 사용한다.

 

Remote Name, "origin"

 

$git log --oneline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커맨드 라인에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Commit하고 Push했던 모든 기록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격 저장소 연결된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Git Graph에서 비주얼하게 나온 것이 아닌 로그 형식으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로그에서 그래프처럼 보고 싶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git log --oneline --graph --all

'프로그래밍 지식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협업] Merge into current branch  (0) 2023.05.30
[Git 기본] Create Branch  (0) 2023.05.30
[Git 기본] Git Checkout  (0) 2023.05.28
[Git 기본] Git Init & Add  (0) 2023.05.28
[Git 기본] Git Fetch & Merge  (0)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