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제 설명
전화번호부에 적힌 전화번호 중, 한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는지 확인하려 합니다.
전화번호가 다음과 같을 경우, 구조대 전화번호는 영석이의 전화번호의 접두사입니다.
- 구조대 : 119
- 박준영 : 97 674 223
- 지영석 : 11 9552 4421
전화번호부에 적힌 전화번호를 담은 배열 phone_book 이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어떤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으면 false를 그렇지 않으면 true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phone_book의 길이는 1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각 전화번호의 길이는 1 이상 20 이하입니다.
- 같은 전화번호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제
phone_bookreturn["119", "97674223", "1195524421"] | false |
["123","456","789"] | true |
["12","123","1235","567","88"] | false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앞에서 설명한 예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한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사인 경우가 없으므로, 답은 true입니다.
입출력 예 #3
첫 번째 전화번호, “12”가 두 번째 전화번호 “123”의 접두사입니다. 따라서 답은 false입니다.
위 문제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
반복문을 이용해서 현재 값이 배열에 저장된 값들 중에서 접두어에 속하는지 확인만 하면 되는 문제였다.
그래서 아래처럼 indexOf를 이용해서 현재 값이 접두어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맞다면 false를 출력하도록 하였다.
class Solution {
public boolean solution(String[] phone_book) {
boolean answer = true;
for(int i = 0; i < phone_book.length; i++) {
for(int j = 0; j < phone_book.length; j++) {
// ===로 사용할 경우, error: illegal start of expression
if(i == j) continue;
// indexOf를 사용하여 접두사 확인 (0이면 접두사)
if(phone_book[j].indexOf(phone_book[i]) == 0) return false;
}
}
return answer;
}
}
정확성 테스트는 문제없이 모두 통과하였다.
그러나 효율성 테스트 중 3번과 4번에서 통과하지 못했다.
이유를 찾아보고 나서 알았던 것은 해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였다.
해시를 사용해서 위 문제를 풀고 싶었으나 제대로 해결할 수 없었다.
그래서 구글에서 검색해서 다른 사람의 해시를 이용한 풀이를 찾아보았다.
혼자서 풀 때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 지 잘 알지 못했지만 풀이를 보고 생각보다 쉽게 접근이 가능했던 문제였다.
아래 코드는 다른 사람의 해시를 이용한 풀이다.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boolean solution(String[] phone_book) {
boolean answer = true;
// Hash 선언
HashMap<String, String> hashMap = new HashMap<String, String>();
for(int i = 0; i < phone_book.length; i++) {
hashMap.put(phone_book[i], "prefix");
}
for(String phone : phone_book) {
for(int idx = 0; idx < phone.length(); idx++) {
if(hashMap.containsKey(phone.substring(0, idx))) {
answer = false;
}
}
}
return answer;
}
}
우선 String으로 해시를 선언하였다.
문제 정답을 찾기 위해서 사용되는 phone_book의 값을 Key 값으로 활용하고 Value는 따로 값을 넣었다.
그리고 phone_book의 길이만큼 반복하고 현재의 배열에 Key값이 다른 값에 포함되어 있는가 확인하는 검사를 진행하였다. 만약 존재한다면 false 값을 출력하고 없다면 true 값을 출력하도록 하였다.
문제는 어렵지 않은 문제지만 평소에 자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려다보니 어렵게 생각하게 되고 쉽게 방법이 떠오르지 않았다.
이번 문제로 해시를 이용한 방법을 새로 배우게 되었고 생각을 조금 더 차분하게 하고 접근하는 게 필요하다고 느꼈다.
'알고리즘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의 재정렬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0) | 2023.02.15 |
---|---|
[코딩테스트 대비 공부] 약수 구하기 (0) | 2022.09.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설명회느낌점
- 개발자이력서꿀팁
- 데브코스커리어후기
- 싱글톤
- 포스텍애플아카데미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 그룹인터뷰후기
- #포스텍애플디벨로퍼아카데미
- DB Error MongooseServerSelectionError
- 프론트엔드 챌린지
- 최종추가합격
- Express
- 스프링
- node
- 원티드 프리온보딩
- 신입개발자가 준비해야 할 것들
- 포스텍애플디벨로퍼아카데미
- 조코딩과함께
- Frontend
- LottieFiles
- PostechAppleDeveloperAcademy
- 개발 이력서 지원 팁
- 고민한 부분
- 코딩테스트 대비
- 2025커리어개더링
- if(kakao)dev2022
- Singleton
- Rea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